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게이트볼 경기규칙 간단하게

by I love you 2021. 10. 15.
728x170

게이트볼 경기규칙은 상당히 복잡합니다. 공식적인 게이트볼 경기규칙은 대한게이트볼협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서 링크 버튼을 넣어두었습니다)

 

여기서는 간단하게 요약하여 게이트볼 경기규칙을 안내해드릴께요. 초심자가 핵심적인 규칙을 파악하시기엔 부족함이 없으실 거에요. 참고로 세계 게이트볼 규칙은 4년마다 개정됩니다. 마지막 개정은 2015년이었습니다. 

 

 

■ 게이트볼 경기규칙

 게이트볼 경기규칙의 핵심은 '5대5로 30분 안에 많은 점수를 얻는 것' 입니다. 

 

 게이트볼은 5:5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공식 경기에서는 선수들 외에 주심, 부심, 기록원이 필요합니다. 주심과 부심이 경기를 진행하고 심판하는 동안 기록원은 모든 공의 점수를 기록합니다. 

 

 5명이 한팀으로 이루어져서 한팀은 빨간 공, 다른팀은 흰 공을 사용합니다. 편의상 빨강팀, 하양팀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선수들은 1번부터 10번까지 번호가 있으며 경기를 할 때는 자신의 번호가 적혀진 공을 사용합니다.

 

게이트를 통과할 때마다 1점을 얻습니다. 게이트 세 개를 모두 통과시킨 후 골대를 맞추면 추가로 2점을 더 획득합니다. 그래서 최대 5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경기 시간은 30분입니다. 선수별로 획득한 모든 점수를 게임이 끝날때 더해서 점수가 높은 팀이 승리합니다. 

1게이트는 한번에 통과시켜야 하며 자기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가는 아웃볼의 경우 통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2-3게이트에서는 아웃볼이 되더라도 게이트 통과는 인정됩니다. 아웃볼이 되는 경우 그 선수의 플레이는 종료됩니다. 

 

1게이트를 통과한 후 상대편 공이나 우리 편 공에 내 공을 맞추면 스파크 타격의 기회를 얻어 1회 더 공격을 할 수 있ㅅ브니다. 공이 완전히 멈춘 후 공을 집어 스파크 타격을 실시해 상대방 공을 불리한 지점으로 보내거나 아웃시킬 수 있습니다. 

게이트볼 경기규칙

 주심이 '플레이볼'을 외치면 게임이 시작됩니다. 빨강 1이 먼저 플레이하고, 하양 2가 플레이합니다. 1~10까지 플레이 순서에 따라 플레이하고, 빨강과 하양팀이 번갈아가며 이어집니다.

 

30분간 경기가 이어지며 코트에는 한 명의 선수만 있습니다. 1-10번까지 한번씩 치는 걸 한 라운드라고 하며 일반 게이트볼 게임에서는 5~6라운드가 있습니다. 

게이트볼 경기규칙

30분의 경기 시간이 끝나면 어느쪽이 게임중이냐에 따라 다르게 종료됩니다. 왼쪽의 그림과 같이 빨강팀이 플레이 중이었다면 하양팀이 한 번 더 플레이하고 게임이 종료됩니다. 양팀이 동일한 플레이 횟수를 가지기 위해서입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하양팀이 플레이 중이었다면 그 선수의 플레이가 끝나면 게임이 종료됩니다. 

 

게임 종료 후 점수가 많은 팀이 승리하게 되며, 동점일 경우 

1. 경기 완료된 공이 더 많은 팀

2. 3게이트를 통과한 공이 많은 팀

3. 2게이트를 통과한 공이 많은 팀 순서대로 승리하게 됩니다. 

 

 

■ 게이트볼 경기규칙의 특징

 게이트볼이 다른 볼게임과 다른 점은 팀플레이로서 전략이 아주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선수 한명 한명의 기술도 중요하지만 5명의 훌륭한 선수가 한팀에 모였더라도 조직이 잘못되면 낭비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다른 어떤 스포츠보다도 전략이 중요한 경기입니다. 왜냐하면 상대방과 우리팀이 돌아가면서 한번씩 하는 경기규칙과, 지난 플레이가 후의 플레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10개의 공의 점수와 위치 등이 플레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 때문인데요.

 

 그만큼 리더의 전략이 승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좋은 전략은 좋은 기술을 효과적으로 만들고, 좋은 기술은 취할 수 있는 전략이 다양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정확한 게이트볼 경기규칙

 구체적으로 정확한 게이트볼 경기규칙은 대한게이트볼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드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년 도입된 주5일제 기사  (0) 2022.06.28
2018년 여름 폭염 기록들  (0) 2022.06.27

댓글